노인 틀니 지원제도, 누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나이가 들수록 자연스럽게 치아가 약해지면서, 틀니가 필요한 순간이 오죠.

그런데 막상 병원에 가보면 생각보다 비용이 많이 들어서 부담스러울 때가 많아요.

이럴 때 꼭 알아야 할 제도가 바로 노인 틀니 건강보험 지원이에요.

오늘은 이 제도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누가 얼마나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정리해볼게요.

지금 바로 신청해야 할 지원사업

노인 틀니 지원제도란?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보험에서 틀니 비용의 일부를 지원해주는 제도예요.

국민건강보험에 가입돼 있다면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어요.

이 제도 덕분에 틀니 비용이 수백만 원에서 수십만 원 수준으로 확 줄어들게 되는 거죠.

누가 대상인가요?

✔ 만 65세 이상이면서

✔ 상실된 치아로 인해 틀니가 꼭 필요한 경우

✔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의료급여 수급자도 가능)

❗ 단, 최근에 틀니를 제작한 이력이 있다면 일정 기간(7~8년)은 재제작이 불가해요.

어떤 틀니가 지원되나요?

총 3가지 종류가 건강보험 틀니 지원 대상이에요.

① 완전틀니

윗니 또는 아랫니 전체가 없는 경우 제작하는 틀니예요.

② 부분틀니

일부 치아만 상실한 경우 남은 치아에 걸어서 사용하는 틀니예요.

③ 틀니 유지관리

이미 만든 틀니를 조정하거나 수리하는 경우에도 지원이 가능해요.

본인 부담금은 얼마인가요?

✔ 건강보험 가입자 기준: 본인부담률 30%

✔ 의료급여 수급자: 본인부담률 10%

예를 들어 완전틀니 기준 전체 비용이 130만원이라면, 본인은 약 39만원만 부담하면 되는 거예요.

병원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전체 비용 중 상당 부분을 지원받을 수 있어요.

어디서 신청하고 제작하나요?

동네 치과 중 ‘건강보험 틀니 등록기관’으로 지정된 곳에서 가능해요.

방문 전 해당 치과에 전화로 ‘노인 틀니 건강보험 적용 가능한지’ 문의해보세요.

기본 진단 → 잇몸 검사 → 틀니 모형 제작 → 최종 장착까지 약 1~2개월 정도 소요돼요.

주의할 점도 있어요!

✔ 틀니 지원은 최소 7년 간격으로만 재신청 가능해요.

✔ 임플란트와 중복 지원은 되지 않아요 (둘 중 하나만 선택 가능)

✔ 자격기준은 생일 기준이 아닌 ‘해당 연도 만 65세’ 기준으로 계산해요.

마무리하며

부모님이나 조부모님께 꼭 필요한 틀니, 이제는 비용 걱정 없이 시작할 수 있어요.

노인 틀니 지원제도는 꼭 챙겨야 할 복지 혜택 중 하나고, 실제로 많은 분들이 만족하고 계시죠.

치아는 곧 건강과 직결되니까요. 주변 어르신들에게도 널리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