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가정 교육비 지원, 누가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한부모 가정이라면 아이의 교육비가 가장 큰 걱정 중 하나일 거예요.

학교 급식비, 학원비, 교재비… 자잘한 비용도 모이면 부담이 크죠.

그래서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한부모가족을 위한 교육비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어요.

하지만 제도가 많고 신청 조건이 달라서 ‘뭐부터 어떻게 신청하지?’ 헷갈리는 경우도 많죠.

이 글에서는 한부모가족 교육비 지원 제도를 깔끔하게 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

지금 바로 신청해야 할 지원사업

누가 지원받을 수 있나요?

한부모가족 지원은 ‘저소득 한부모가정’으로 등록된 경우 우선적으로 받을 수 있어요.

  •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 계층 한부모가정
  • 중위소득 60% 이하 또는 지자체 기준 중위소득 기준 충족

지자체별로 기준이 조금씩 다를 수 있어서, 주소지 주민센터나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는 게 정확해요.

어떤 교육비가 지원되나요?

1. 초·중·고등학교 학비 및 급식비

국가가 운영하는 ‘교육비 지원 시스템’에서 등록하면 입학금, 수업료, 교과서비, 급식비 등이 지원돼요.

  • 지원 방식: 학교로 직접 지원되며, 별도 입금 없음
  • 대상: 교육비 지원 대상자로 등록된 초·중·고등학생

교육비 지원은 매년 1~3월에 집중 신청을 받지만, 수시 신청도 가능해요.

2. 교육급여 (기초생활보장제도 내 항목)

  • 초등학생: 연 286,000원
  • 중학생: 연 376,000원
  • 고등학생: 연 554,000원 + 입학금·수업료 실비 지원

위 금액은 2024년 기준이며, 매년 조금씩 달라질 수 있어요.

3.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한부모가정 자녀도 방과후 수업을 무료로 듣거나, 일부 지원받을 수 있어요.

학교에서 신청 안내를 해주며, 교육비 지원과 연계되어 있어 별도 절차는 간단해요.

4. 지자체별 추가 교육 지원

일부 시·도에서는 한부모가정을 대상으로 별도의 학습비, 학원비, 체험학습비 등을 추가로 지원하기도 해요.

예: 서울시 교육지원비, 경기도 학습준비물비 등

이 경우 거주지 시청 홈페이지나 주민센터에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어요.

신청 방법은?

① 주민센터 방문

가장 확실한 방법은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해서 상담받는 거예요.

직접 상담을 통해 현재 받을 수 있는 교육비 항목을 정리해줘요.

② 복지로 온라인 신청

복지로 홈페이지(www.bokjiro.go.kr) 또는 복지로 앱에서 신청 가능해요.

메뉴: 서비스 신청 → 한부모가족 지원 → 교육비 항목 체크

③ 학교를 통한 간접 신청

학교 담임선생님이나 행정실에서도 신청 안내를 받을 수 있어요.

방과후학교, 교복비, 체험학습비 등은 학교와 연계된 지원인 경우가 많아요.

자주 묻는 질문

중학교 자녀가 두 명인데, 두 명 다 지원받을 수 있나요?

네, 가족 구성원 전체가 지원 대상이면 각각 따로 교육비 지원이 가능해요.

수급자 등록이 안 되어 있어도 교육비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중위소득 60% 이하라면 교육비 단독 신청이 가능하니 주민센터에 상담해보세요.

교육급여와 교육비 지원은 같은 건가요?

비슷하지만 다릅니다. 교육급여는 복지제도 안에 있는 현금 지원이고, 교육비는 수업료·급식비 등 실비 지원이에요.

알아두면 좋은 팁

  • 매년 1~3월 ‘교육비 지원 집중 신청기간’ 놓치지 말기
  • 복지로에 등록된 정보가 최신인지 확인하기
  • 학교 안내문 꼼꼼히 읽고 신청 서류 빠짐없이 제출
  • 형제자매 수에 따라 추가 지원 가능한 경우도 있으니 꼭 문의

마무리하며

한부모가정이라면 교육비 걱정부터 드는 게 현실이에요.

하지만 정부와 지자체에서 마련한 제도를 잘 활용하면, 적지 않은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정확한 정보와 적극적인 신청이 무엇보다 중요하니, 오늘 이 글을 계기로 한 번 점검해보세요.

아이의 교육을 위한 작은 발걸음이, 훗날 큰 날개가 되어줄 수 있습니다.